The Biggest Threat to the Earth? We Have Too Many Kids
지구의 가장 큰 위협? 아이들이 너무 많은 것이다.
Nick Stockton
(닉 스톡톤)
TODAY IS EARTH Day.
오늘은 지구의 날이다.
For 45 years, the secular holiday has brought people —along with their ideas and enthusiasm — together to confront the world’s environmental challenges.
45년 동안 이 세속 공휴일은 사람들이 아이디어들과 열정을 갖고 세계의 환경 과제들을 대면하게 해 왔다.
There will be speeches about sustainability, discussions about air quality, and pamphlets on how to reduce your carbon footprint.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설들과 대기의 질에 관한 토론들이 행해지고 탄소 타이어자국을 줄이는 방법에 관한 팜플렛들이 나돌 것이다.
You might even learn how to help save some sub-Saharan elephants, but nobody will be addressing the elephant in the room.
당신은 심지어 사하라 사막 남쪽 지역의 코끼리들 일부를 구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게 될 수조차 있다. 하지만 아무도 방 안의 코끼리를 다루려고 하지 않는다.
That’s the fact that every single environmental solution is addressing the same, ugly problem: The world has to support a lot of hungry, thirsty, fertile people.
사실, 모든 개개 환경 해결책들은 동일한, 험악한 문제에 조우하게 된다: 세계는 많은 굶주리는, 목마른, 마구자식들을 낳는 사람들을 부양해야 한다.
“No question, the human population is the core of every single environmental issue that we have,” says Corey Bradshaw, an ecologist at the University of Adelaide in Australia.
오스트레일리아 아델라이데 대학교의 생태학자 코레이 브래드쇼는 “인구가 우리가 처해있는 모든 하나하나의 환경 쟁점의 핵심이라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말한다.
There are seven billion of us and counting.
70억 명의 사람들이 있고 계속 늘고 있다.
And though people are developing technologies, regulations, and policies to make humanity less of a strain on the Earth, a number of environmentalists believe that these fixes will never catch up to the population as long as it continues to grow.
그리고 비록 사람들이 인류가 지구에 덜 압력을 가하도록 기술들, 규제들, 그리고 정책들을 개발하고 있지만, 많은 환경주의자들은 이 처방들이 인구가 계속 느는 한 인구를 따라잡지 못할 것이라고 믿는다.
The only way to save the world is to stop making more (and more, and more, and more) humans.
세계를 구할 유일한 방도는 사람들이 더 (더, 더, 더) 많아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This is not a new idea — but it has been driven underground for a time.
이것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아니다 - 그러나 그것은 한 동안 지하로 쫓겨나 있었다.
Built on Malthusian foundations, and bolstered by books like The Population Bomb, reining in human reproduction was a major talking point at the first Earth Day, in 1970.
Malthusian 의 주장을 기반으로 하고 <인구폭탄>같은 책들에 의해 강화되어, 인간의 번식에 제동을 거는 것은 1970년 제1회 지구의 날의 주요 논점이었다.
The idea almost went mainstream in America, but extremists advocating for government regulation of fertility gave it a bad reputation.
그 아이디어는 미국에서 거의 주류가 되었지만 정부의 출산규제에 대한 극단적인 옹호가 그것에 오명을 씌었다.
China’s one-child policy, in 1980, didn’t help.
1980년부터 시행된 중국의 자녀 한 명씩만 둬야 하는 정책도 도움이 되지 않았다.
But advocates for population stabilization — which they soften up by calling “family planning” — say mandatory family sizes are not the answer, never were.
그러나 인구 안정화 옹호자들, 또는 (그들 자신이 부드러워 보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쓰는 표현인) “가족계획” 옹호자들은 강제적인 가족 규모 축소가 답이 아니며 답이었던 적도 없다고 말한다.
Instead, they say they’ll get people to regulate their reproduction through other (more publicly palatable) goals:
대신, 그들은 그들이 다른 (더 공적으로 호소력 있는) 목표들을 통해 사람들이 그들의 번식을 조절하게 할 것이라고 말한다:
“We need to raise people out of poverty, give them better health care, and educate them,” says Suzanne York, a spokesperson for the Institute of Population Studies in Berkeley, California.
캘리포니아 버클리 인구연구소의 대변인인 Suzanne York는 “우리는 사람들이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고 그들에게 더 나은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들을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Humanitarian sorcery? Nay.
인도주의적 마술? 아니다.
These goals work in service of something called demographic shift, a well-established sociological principle.
이 목표들은 잘 확립되어 있는 사회학적 원칙인, 인구구성 변동이라 불리는 어떤 것에 봉사하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Basically, it’s a way of looking at the survival instinct on a societal scale.
기본적으로, 그것은 사회 전체 수준에서 생존본능을 고찰하는 방식이다.
See, in pre-industrial societies, people die often.
봐라 전 산업사회에서는 사람들이 뻔질나게 죽는다
OK, children die often.
당연히, 아이들이 뻔질나게 죽는다.
So people inpre-industrial societies tend to have a lot of children.
따라서 전 산업시대 사회 사람들은 아이들을 많이 갖는 경향이 있다.
As a society progresses — getting richer, healthier, and more educated — the child mortality rate drops.
사회가 진보함에 따라 - 더 부유해지고 더 건강해지고 더 교육받게 됨에 따라 - 아이들의 사망률이 떨어졌다.
The birth rate stays high for a while, but eventually it too tapers off.
출산율은 한 동안 높은 채로 머물렀지만 결국 그것도 점차 떨어졌다
(This lag period of fast population growth is what happened in Europe prior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it was the situation in China before One Child, and it’s happening right now in parts of Africa.)
(이 한발 늦은 빠른 인구성장은 산업혁명 전 유럽에서 일어났던 것이다. 그것은 한 자녀 정책 전의 중국이 처했던 상황이기도 하며 아프리카의 여러 지역들에서는 지금 바로 그 인구 성장이 일어나고 있다.)
Family planning simply makes sure that this gap between death and birth rates doesn’t lead to a huge population boom.
가족계획은 사망률과 출산율 사이의 이 간극이 인구 폭증에 이르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Not everyone is behind family planning, though.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가족계획을 지지하지는 않는다.
To some, the term is still a euphemism for totalitarian population control, and it invokes the specter of intrusive, abusive government policies (such as China’s, which has produced horror stories like forced abortions).
일부에게, 그 용어는 여전히 전체주의적 인구통제의 완곡한 표현일 뿐이며 그것은 (강제 낙태 같은 무시무시한 이야기들을 낳았던 중국의 것과 같은) 강제적이고 월권적인 정부 정책들의 유령을 소환한다.
And some people working on the population problem even think we need to be stabilizing the population by having more babies.
그리고 인구문제를 연구하는 사람들 일부는 심지어 우리가 아이들을 더 많이 갖는 것에 의해 인구를 안정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It’s OK, you can take a moment to read that again.
그 주장을 알아보는데도 잠시 시간 내는 건 나쁘지 않다.
“I see people as the ultimate resource,” says Steven Mosher, of the Population Research Institute in Virginia.
버지니아의 인구조사 연구소의 Steven Mosher는 “나는 사람들을 궁극적 자원으로 본다”고 말한다.
According to Mosher, more people means more minds to contribute to solutions, and more competition leading to more innovation — innovation that can tackle the problems created by too many bodies.
Mosher에 따르면, 사람들이 많을수록 해결책들에 기여할 더 많은 지성들과 더 많은 혁신 발전을 이끌 경쟁에 이른 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혁신은 너무 많은 신체들에 의해 창출된 문제들을 처리할 수 있는 혁신이다. -
Eventually, society will reach demographic transition on its own, no birth control necessary.
최종적으로는, 아무런 출산 통제도 필요 없게 사회가 스스로 인구구성의 변동에 도달할 것이다.
Mosher says this also frees people from having the terms of their societal transition dictated to them.
Mosher는 이것은 또한 사람들이 그들의 사회 전체 수준에서의 변동의 내용을 지시 받는 것으로부터 자유롭게 할 것이라고 말한다.
Other experts are skeptical that the population can balance itself out.
다른 전문가들은 인구가 스스로 균형을 잡을 수 있다는 데 회의적이다.
“That idea is so wrong in so many ways that I don’t know where to begin,” says Bradshaw.
Bradshaw는 “그 아이디어는 어디서부터 손대야 할지 모를 정도로 수두룩하게 틀렸다”고 말한다.
He says unregulated reproduction ignores an ecological principle called density feedback.
그는 조절되지 않는 재생산은 밀도 피드백이라 불리는 생태학적 원칙을 무시한다고 말한다.
“When you increase population in a finite space, you increase per capita aggression, and increase competition for resources.
그는 “당신이 유한한 공간에서 인구를 증대시키면, 당신은 일 인당 공격성향을 증대시키며, 자원을 둘러싼 경쟁을 증대시킨다.
You see more conflict, more suffering, more pain, more death,” he says.
당신은 더 많은 갈등, 더 많은 고통, 더 많은 죽음을 보게 된다”고 그는 말한다.
Bradshaw agrees that it’s important that societies that undergo demographic transition aren’t denied the comforts of post-industrialization.
Bradshaw는 인구변동을 겪는 사회들이 산업화 이후의 편리들을 향유하지 못하게 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데 동의한다.
But he says that limitless population growth will make conditions much much worse, before they ever (if ever) get better.
그러나 그는 무제한한 인구성장은 처지를 더 개선시킨다 하더라도 그 개선 훨씬 이상 더 악화시킨다고 말한다.
This is because any technology allowing the planet to support more people has always lagged behind the rate of population growth.
이것은 지구가 더 많은 사람들을 부양할 수 있게 하는 어떤 기술도 언제나 인구성장률에 뒤쳐져 왔기 때문이다.
“We can’t even feed the people on the planet now,” says Bradshaw, noting that there are nearly one billion hungry people on the planet.
Bradshaw는 지구상에 거의 10억 명의 굶주리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에 주의를 환기시키면서, “우리는 현재의 지구 인구조차도 먹여 살릴 수 없다”고 말한다.
The key, says Bradshaw, is to augment family planning with tech fixes that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each individual.
Bradshaw는 해결책은 각 개인이 환경에 가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기술적 처방들과 더불어 가족계획을 증대시키는 것이라고 말한다.
In the end, any number of population control techniques — from farcical mass abortion plots to widespread war and famine to reasonable strategies targeting unplanned pregnancies— won’t stall global population growth, as Bradshaw noted in a paper he co-authored last year (with the give-away title “Human population reduction is not a quick fix for environmental problems”).
궁극적으로, 터무니없는 대량낙태 책략부터 만연한 전쟁과 기아를 거쳐 무계획적인 임신을 표적으로 하는 합리적인 전략들에 이르기까지 아무리 많은 인구통제 기법들을 구사해도, Bradshaw가 지난 해 공저한 (“인구 감축은 환경문제에 대한 즉석 처방이 아니다”라는 양보하는 투의 제목을 단) 논문에서 지적한 대로, 전지구적 인구성장이 정체되지는 않을 것이다.
In that paper, Bradshaw evaluated several methods of population control, and some of the best results came from targeting unplanned births — which number about 33 million a year.
그 논문에서, Bradshaw는 몇 가지 인구통제 방법들을 평가했는데, 최상의 결과들 중 몇 개는계획되지 않은 출산을 표적으로 삼는 방법에서 왔다 - 그 출산은 매년 3,300만 건에 달한다.
“Through education, if you could stop the unintended pregnancies that result in unplanned births, you’d have the same net effect as having a global one-child policy in place by 2100,” says Bradshaw.
Bradshaw는 “교육을 통해 사람들이 계획에 없던 출산을 초래하는 의도되지 않은 임신을 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면, 2100년쯤에는 한 자녀 정책이 전지구적으로 시행되는 것과 동일한 순 효과가 생길 것이다”라고 말한다.
But even under these best of circumstances, with the best of outcomes, Bradshaw’s projected global population in 2100 would be about the same as today: seven billion hungry, thirsty people
그러나 최상의 결과를 낳는 이 최상의 상황에서도 Bradshaw가 투영하는 2100년의 세계인구는 오늘날과 거의 동일한 처지에 있을 것이다: 여전히 7억명의 굶주리고 목마른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Maybe we should get to work on improving air quality after all.
아마 결국 ,우리는 대기의 질을 개선하는 데나 신경 써야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 출처: 와이어드
http://www.wired.com/2015/04/biggest-threat-earth-many-kids/
사이트 들어가실 거면 인터넷 익스플로어보단 크롬으로 들어가시길 추천드립니다^^
-----------------------------------
해외 칼럼 번역한 것 입니다.
영어 실력을 늘리고 싶으시면
좋은 글을 읽어보는게 좋을 것 같아서 올립니다^^
번역도 완벽히 한 것이니 잘 봐주세요~